23. 미국 대법원이 내린 두 건의 판결

팟캐스트 듣기


아메리카노2020 “23화: 미국 대법원이 내린 두 건의 판결”을 올렸습니다.

성소수자(LGBT)도 직장에서 성적 지향을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된다, 어릴 때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부모와 함께 미국으로 온 이들(DREAMER)을 함부로 추방해선 안 된다. 미국 대법원이 여름 휴지기를 앞두고 두 건의 중요한 판결을 내렸습니다.

23. 미국 대법원이 내린 두 건의 판결”의 6개의 생각

  1. R.B.G가 정말 존경하고 닮고 싶은 롤 모델이라서 책상 앞에 사진까지 붙여두고 법학적성시험(LEET) 준비하고 있는 학부 4학년 재하입니다!! 리트 시험이 20여 일 앞으로 다가왔는데 아메리카노2020에서 긴즈버그 이야기가 나오다니!!! 너무 반갑고 행복했어요 공부 자극도 받을 수 있었고요ㅎㅎ 항상 잘 듣고 있다는 말씀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좋아요

  2. RBG를 정말 존경하고 닮고 싶어, 책상 앞에 사진까지 붙여두고 법학적성시험(LEET) 준비하고 있는 학부 4학년 재하입니다!! 리트 시험이 20여 일 앞으로 다가왔는데 아메리카노2020에서 긴즈버그 이야기가 나오다니!!! 너무 반갑고 행복하고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공부 자극도 받았고요ㅎㅎㅎ 항상 잘 듣고 있다는 말씀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좋아요

    1. 재하님, 댓글 감사드립니다. RGB에 대해서 사실 저도 잘은 모르고 있었는데, 에스프레소 준비하며 권채령 에디터님이 올려주신 기사, 영상들 보고 나니 정말 왜 사람들이 열광하고 존경하는 법관인지 알겠더라고요. 재하님도 꼭 시험에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화이팅입니다!

      좋아요

  3. 유 교수님 듣똑라 출연하신 것 잘 들었습니다. 아메리카노를 통해 먼저 들은 이야기를 다시 요약해서 들으니까 제가 우등생인 것 같은 기분을 잠깐 느끼며 행복했습니다.

    교수님 세부전공이 이익집단과 로비라고 말씀해주셨는데, 미국의 핫한 이슈가 지나면 그 주제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 영화 같은데서 보면 이익집단과 정치의 연계가 매우 제도적으로 허용된 것처럼 보이다가도 어떨 때는 갑자기 엄청난 불법인 것처럼 나오는 게 흥미롭더라고요. 코리안 게이트 이런 사건은 그럼 뭘 잘못해서 일어난 건가 궁금하기도 하고, 지금 한국도 공식적으로 미국에 로비를 하고 있나 궁금하기도 하고요.

    혹시 미스슬로운이라는 영화 보셨나요? 제시카 차스테인이 여성 로비스트로 나오는데 본격 프로 여성 로비스트가 일만 죽어라 계속 하는 영화인데 매우 재밌습니다. 거기서 주인공이 로비스트 에이전시에 속하고 각 에이전시의 성격이 다르다거나, 의원들이 자기 캠페인을 컨설팅 의뢰하러 온다거나, 로비스트가 의원 한 명 한 명을 설득하러 다닌다거나, tv 토론에 나온다거나, 로비스트가 뭔가 잘못하니까 법정도 아니고 상원청문회(?)에서 재판 같은 걸 진행한다거나 모두 낯설었습니다.

    방명록 스타일의 게시판을 못 찾아서 관련 없는 에피소드에 댓글을 달았네요. 감사합니다.

    좋아요

    1. Cool-Cool님, 댓글 감사드립니다! 로비에 관한 코멘트가 있으셔서 유혜영 교수님께 댓글을 달라고 말씀드리려다 계속 못 만나고 있어서, 제가 일단 댓글 잘 읽었다는 답변만 남겨둡니다:) 추천해주신 영화도 저는 본 적이 없습니다만, 다음에 챙겨보고 나면 말씀드리겠습니다!

      좋아요

    2. 댓글 감사합니다 (전 유혜영입니다). 송편집장님이 cool-cool님이 남겨주신 댓글 알려주셨어요. 아메리카노2020이 잠시나마 행복감을 드렸다니 정말 좋네요. 사실 미국 정치의 가장 독특한 부분 중 하나가 이익집단의 활동이 아주 적극적이고 합법적으로 보장된다는 것이 아닐까 싶네요. 제가 이익집단을 세부 전공으로 정하게 된 계기이기도 하고요. 7월 중에 아마 이익집단의 양대 활동인 선거 자금과 로비에 대한 에피소드를 드디어! 만들 수 있지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 에피소드들에서 코리안 게이트, 한국의 미국에서의 로비 활동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말씀해주신 미스슬로운이라는 영화는 보지 못했는데 로비 회사에 따라 성격이 다르거나 로비스트의 역할에 관한 부분은 제 연구랑도 많이 연관이 되어 있는 것 같네요. 시간이 될 때 꼭 챙겨보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아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