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화: 조지 플로이드 사망, 여전한 인종차별

팟캐스트 듣기


아메리카노2020 “20화: 조지 플로이드 사망, 여전한 인종차별 ”을 올렸습니다.

인종, 민족, 출신 국가와 종교 등을 이유로 차별하는 것을 금지한 민권법(The Civil Rights Act)이 미국에서 제정된 것이 1964년의 일입니다. (주로 백인) 경찰이 무고한 (주로 흑인) 시민을 향해서만 폭력을 가해 매년 수백, 수천 명의 흑인이 목숨을 잃자 이에 반대해 시작된 흑인의 목숨도 중요하다(Black Lives Matter) 운동도 7년이 됐습니다. 그러나 지난주 미국에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을 보면, 여전히 갈 길이 멀어 보입니다.

20화에서 소개해드린 기사, 영상 링크입니다.

  • 먼저 유혜영 교수가 쓴 논문 “Who Pays for Government? Descriptive Representation and Exploitative Revenue Sources”을 소개한 복스(Vox)의 기사를 번역한 글입니다.
  • 그리고 에스프레소2020은 오늘은 인터뷰나 강연이 아닌 신문 기사를 해설과 함께 짚어드렸는데요, 뉴욕타임스 기사를 열어놓고 같이 들으시면 더 도움이 되실 겁니다.
  • 한 주간 있던 일을 자세히 소개해드렸는데, 언급된 사건 중에 참고하시면 좋을 만한 글, 영상입니다.
    • 트레버 노아가 한 말과 노스캐롤라이나 샬럿에 모인 시위대 사이에서 일어난 토론 영상을 #육아러장차장/#번역러장차장 (같은 분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께서 번역해서 유튜브에 올려두셨습니다. 번역본을 미리 알았다면 참고해서 더 정확하게 소개해드릴 수 있었을 텐데 편집을 마치고 나서 번역한 영상을 확인했습니다ㅠ
    • 트럼프 대통령과 트위터의 갈등에서 주목을 받는 법이 통신품위법 230조입니다. 박상현 님이 뉴스톱에 자세한 해설을 달아주셨습니다.
    • 그리고 넷플릭스 코리아의 명백한 오역에 관한 슬로우뉴스 기사입니다.

20화: 조지 플로이드 사망, 여전한 인종차별”의 2개의 생각

  1. 미국 내 인종차별 역사, 현이슈, 한국에서의 반응의 문제점까지 짚어주신 이번 화 잘 들었습니다. 같은 날 저는 Youtube의 Netflix계정에 올라온 Hasan Minhaj의 ‘아시안 커뮤니티 내 빈번한 흑인차별 고발’에 대한 동영상을 보면서, 제가 지금 속해있는 미국 내 한인 유학생 커뮤니티와 아카데미아 내의 흑인차별, 인종차별에 대해 생각하고있던 참이었습니다. 추후에 유혜영 교수님과 송인근 편집장님께서 higher education, 대학 입학, 패컬티 채용 등에서 일어나는 교육계, 학계 내의 인종차별 이슈에 대해서도 언급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시의적절하고 유익한 방송 항상 감사드립니다.

    좋아요

    1. Kim님, 댓글 감사드립니다. 시의적절한 내용으로 들어주셨다니 다행입니다. 안 그래도 이번 에피소드에선 지금 일어난 사건의 경위를 설명하는 데 많은 시간을 쓴 만큼, 다음 번엔 구조적인 인종차별에 관해 더 많은 이야기를 하려던 참이었습니다. 다음 에피소드에 모든 걸 다 담진 못하겠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학계를 비롯해 일터에서 벌어지는 구조적인 인종차별 문제도 다뤄보겠습니다.

      좋아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