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캐스트 듣기
지난 시간에 이어 리나 칸 위원장의 “아마존의 반독점 역설” 논문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리나 칸 위원장은 “마치 갓 창업한 아마존이 미국의 반독점 규제를 상세히 분석한 뒤 맹점을 철저히 공략해 성장한 것처럼 보일 정도”라고 지적했습니다.
1970년대에 시카고학파가 바꿔놓은 반독점 규제 패러다임이 왜 플랫폼 경제에 맞지 않는지, 덕분에 수많은 물건과 서비스 가격이 싸졌다며 소비자들이 좋아하다 못해 사랑하는 브랜드가 된 아마존이 어떻게 독점 기업으로 손대는 사업마다 그 생태계에 폐해를 끼쳤는지 정리한 리나 칸 교수의 설명을 살펴봅니다.
Cost pricing 은 단가보다는 “원가”로 말하는 것이 맞아보입니다.
좋아요좋아요
Sangwon Lee님, 감사합니다. 듣고 보니 “원가”가 더 적절한 표현이네요. 이미 녹음해서 올린 팟캐스트는 어쩔 수 없지만(ㅠ) 지금이라도 수정할 수 있는 텍스트는 수정해두겠습니다! 이 주제로 짧은 보고서를 썼는데, 거기에도 표현 수정해 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좋아요